CE Marking 인증과 ATEX Certificate > 방폭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방폭이야기

CE Marking 인증과 ATEX Certificate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0-31 08:06 조회30,421회 댓글0건

본문

regul_ce1.jpgCE마크는 무슨 뜻인가?

먼저, 제품에 부착된 Certificate(Manufacturer Label)의 왼쪽의 실제 사진을 보겠습니다. 첫번째 그림의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바로 CE마크입니다. 원래는 C글자와 E글자 사이에 좀더 띄어쓰기를 해야하지만, 제품 크기에 맞게 표시를 하다보니 저렇게 붙여쓰기가 되어있습니다.
CE마크는 각 나라별로 운영되던 제품 인증제도(영국 KITE, 프랑스 NF, 독일 GS 등)를 1985년 유럽통합과 함께 당시 EU이사회가 결의하여 CE인증으로 통일하고 그에 따라 만들어진 것입니다. 아이폰같은 일반 전기제품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CE마크는 유럽경제구역용 제품이라는 의미입니다. 또는 그 규격을 만족한다는 뜻입니다. CE마크가 부착된 제품은 유럽경제구역(EEA, European Economic Area으로 EU(유럽연합)과 EFTA(유럽자유무역 연합국가 및 스위스, 터키)의 국가지역내에서 아무런 제한(추가 검사나 시험)없이 유통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제품에 CE마크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의 건강, 안전, 환경과 관련된 제품에는 의무적으로 CE 인증을 받고 CE 마크를 부착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CE마크 인증은 누가 하나?
먼저, 제조자 스스로 인증할 수 있습니다. 제품 수입자도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제3자(인증기관)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아무나 인증하는 것이 아니고 제품의 성격에 따라 인증할 수 있는 주체가 정해져 있습니다. 가령, 제품의 위험이 크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검사하고 CE마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험이 큰 제품의 경우에는 반드시 외부 인증기관의 검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인증은 설계단계와 생산단계로 나눠서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쉬운 인증 방법은 인증기관의 별도 검사없이 제조자가 설계와 생산단계를 자체관리하고 스스로 제품 안전성에 관해 적합하다고 선언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위험지역에서 사용되는 방폭형 제품의 경우에는 다릅니다. 설계단계에서부터 기술문서와 제품 샘플을 인증기관에 제출하고, 인증기관은 이를 평가하고 문제가 없으면 "형식검사 증명서"를 발급하게 됩니다. 그래서, ATEX Certificate의 제목이 EU-TYPE-EXAMINATION CERTIFICATE 입니다. (개정된 2014/34/EU에 의해 EC TYPE에서 EU TYPE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이어지는 생산단계에서는 생산자 스스로 제조와 시험에 관한 품질시스템을 운영하고(QAN 인증), 이어 형식검사 증명서에 승인된 형식과의 일치한다는 적합성 선언과 함께 CE마크를 부착합니다. 외부 인증기관(NB, Notified Body)의 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CE마크 밑에 인증기관의 일련번호 네자리를 표시하게 되는데 첫번째 그림 빨간 박스안의 1180은 SGS BASEEFA LIMITED(United Kingdom)라는 기관을 의미합니다. 일련번호별 상세한 NB의 목록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gul_ce2.jpgCE마크의 인증서는 어디서 구하나?
각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CE 마크 인증서라는 이름이 아닌 다른 명칭으로 되어 있습니다.
CE마크의 인증서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가 EU declaration of conformity(자기적합성선언, D of C)입니다. 위험도가 낮은 제품은 외부 인증기관의 별도 검사없이 제조자가 자기 스스로 인증하고 CE마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제조사는 직접 EU공통규격에 따라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는 적합성선언서(D of C)와,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기술문서를 구비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D of C가 CE인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Certification of Conformity (=Type Examination, 형식검사, C of C)입니다. 위험지역에서 사용하는 방폭형 제품의 경우라면 제조자가 스스로 인증하는 D of C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외부 인증기관(NB)의 형식검사(Type Examination)을 사전에 받고, 여기에 각 제품을 생산할 때마다 형식검사를 받을 때와 같은 공정으로 제작되었다고 제조사가 보증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인증기관에서 작성한 형식검사 결과가 흔히 말하는 ATEX Certificate이고, 제조사에서 작성하는 서류가 C of C입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ATEX Certificate로 EU TYPE EXAMINATION CERTIFICATE 를 제출하고, 시험성적서의 명목으로 C of C를 제출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두번째 그림은 실제 EC TYPE EXAMINATION CERTIFICATE의 첫페이지입니다. 인증한 인증기관(Baseefa)와 발행일, 인증번호(Certificate No.), 인증된 제품의 모델명(Product Range), 제조사 및 제조사의 주소 등이 나와있습니다. 인증시 제품에 적용된 관련 규정(Applicable Standards)과 방폭인증등급(Marking)도 표시되어 있습니다.

 

regul_ce3.jpgCE마크와 ATEX써티는 어떤 관계인가?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ATEX는 CE인증의 일부입니다. 학창시절 수학시간에 배웠던 집합의 개념으로 말하자면 ATEX는 CE인증의 부분집합입니다. CE인증을 받아야 하는 많은 제품군 중 방폭기기 제품군(Equipment and protective systems intended for use in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s)이 있고, 방폭기기 제품군은 해당 지침에 의해 외부 공인기관의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 경우 CE마크와 함께 EX마크(첫번째 그림의 파란색 표시부분) 및 방폭장비 코드를 제품에 표시해야 합니다. 이같은 이유로 실무에서는 ATEX Certificate을 CE 인증서로 대체해서 인정하기도 합니다. ATEX Cerificate가 있다는 자체가 CE인증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니까요.
ATEX는 Explosive Atmospheres Directive 의 약자로 ATEX 95(장비 관련규정)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규정은 현재 2014/34/EU로 개정되었고 2016년 4월20일부터 전면적용되었습니다. 그렇다고 개정된 규정에 의해서 기존에 승인되었던 모든 제품을 다시 재인증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 규정에 따라 승인된 제품도 여전히 유효합니다(remain valid). 다만 기존 제품에 부분설계변경(variation) 등을 통해 상품성을 강화하던 방식(Supplement)은 더이상 불가능해졌고, 이런 경우라면 새로운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개정을 통해 ATEX 규정에 의해 평가되어야 하는 제품 종류도 늘어났습니다.
세번쨰 그림은 Weidmuller사의 Junction Box에 부착된 IEC Ex 인증용 Manufacturer label입니다. Manufacturer Label에는 규정에 따라 제품모델, Serial No.(제품의 privacy(?)를 위해 Serial은 가렸습니다), 방폭등급과 가스 또는 분진표시, 가스등급 및 T등급, IP등급, 제조사 정보 및 그외 안전에 필요한 사항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ATEX 써티를 설명하는 글에서 IEC Ex 규격의 써티를 보여드리는 이유는 두 써티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보여드리기 위해서 입니다. 첫번째 차이는 첫번째 그림의 ATEX 인증제품에는 있었던 CE 마크가 IEC Ex 인증에서는 없다는 점입니다. 이는 IEC Ex 인증은 국제인증으로 CE인증과는 관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차이점은 Ex 마크입니다. Ex 마크는 육각형 모양에 내부에 Ex라고 적혀있는 글씨(첫번째 그림의 파란색 상자)인데, 이것도 CE 인증품중 방폭관련제품에만 붙는 표시입니다. 이 마크도 국제인증인 IEC Ex에서는 빠져있습니다. 이 두가지 기본적인 차이점이 ATEX와 CE인증과의 관계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시험인증원(http://www.rapatcl.or.kr/new/), 한국품질인증표준원, WIKI pedia (http://en.wikipedia.org/wiki/CE_marking), 한국산업안전기술원 자료, Weidmuller 기술문서, Session 5 European Directives ATEX (IEC Ex)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방폭이야기 목록

Total 28건 7 페이지
게시물 검색
 
방폭이야기 목록
4. 위험지역의 분류와 표시 : Zone 시스템, 카테고리(Category), EPL(Equipment Prot… 인기글
글쓴이: 관리자 | 날짜: 2016-10-31 | 읽음: 48749
위험지역에도 등급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위험지역에 관련된 용어를 모두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위험지역이란 어떤 곳일까요? 아주 높은 곳에 작업을 해야 해서 추락위험이 있는 곳? 거대한 중장비들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공장이라 자칫하면 다치기 쉬운 곳?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그런 곳이 위험지역이겠지만, 방폭이야기에서는 폭발이 일어나기 쉬운 지역을 말합니다. 폭발이 일어나기 쉬운 지역은 따…
3. 장비 그룹(Equipment Group)의 분류 인기글
글쓴이: 관리자 | 날짜: 2016-10-31 | 읽음: 13548
장비그룹의 분류 장비그룹(Equipment Group)의 설명에 앞서 옆쪽 첫번째 사진을 보겠습니다. HAWKE사의 Junction Box에 부착되어 있는 ATEX Certificate Label (Manufacturer Label)부분을 발췌한 사진입니다. 글자가 많아 복잡해보이는 이 Label 에는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장비그룹(Equipment group), 장비카테고리(Category), 장비보호등급(Equi…
[열람중] CE Marking 인증과 ATEX Certificate 인기글
글쓴이: 관리자 | 날짜: 2016-10-31 | 읽음: 30422
CE마크는 무슨 뜻인가? 먼저, 제품에 부착된 Certificate(Manufacturer Label)의 왼쪽의 실제 사진을 보겠습니다. 첫번째 그림의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바로 CE마크입니다. 원래는 C글자와 E글자 사이에 좀더 띄어쓰기를 해야하지만, 제품 크기에 맞게 표시를 하다보니 저렇게 붙여쓰기가 되어있습니다. CE마크는 각 나라별로 운영되던 제품 인증제도(영국 KITE, 프랑스 NF, 독일 GS 등)를 1985…
1. 방폭 관련 용어 정리 인기글
글쓴이: 관리자 | 날짜: 2016-10-28 | 읽음: 28147
1) 위험 지역 (Hazardous Area) : 인화성 가스 및 증기가 화재/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우려가 있는 장소로서 가스의 존재 빈도, 체류시간, 환기 조건등에 의하여 ATEX 기준으로는 Zone0, 1, 2로 국내기준으로는 0종, 1종, 2종 장소로 구분됩니다. 미국에서는 Harsh Area 라고도 합니다. 왼쪽 사진은 대표적인 위험지역인 해상 시추 및 정유공장이였던 곳의 사고사진입니다. 북해지역의 Piper Al…
상단으로

(주)태경T&C | TEL.02-469-0768 FAX.02-469-0767 Email.sales@tktrade.co.kr | 주소.서울시 송파구 법원로128 C동1116호 (문정동, SK V1 GL메트로시티) (우편번호:05854)

Copyright © www.tktrade.co.kr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